Curriculum

_______

교육과정

교과과정

한국어 과정

그룹명
선발기준
교육 목표
개나리반
1. 유치원 교육 과정의 대상 연령에 해당되는 5세 또는 6세 어린이
2. 부모가 가정에서 한글을 주요 의사소통 언어로 사용하며 1항에 해당하는 어린이
3. 한글과 한국문화에 대한 지속/장기적인 학습을 희망하는 가정의 미취학 어린이
한글에 관한 기초적인 역사적 사실 학습
한글 자모 암기
한글 자모의 읽기, 결합, 및 쓰기
한글 자모(ㄱ, ㄴ, ㄷ, …)의 읽기/쓰기부터 학습
매화반
1. 초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 교육 과정의 연령대에 해당되는 어린이
2. 부모가 가정에서 한글 또는 기타 외국어를 주요 의사소통 언어로 사용하며 1항에 해당하는 어린이
3. 한글과 한국문화에 대한 지속/장기적인 학습을 희망하는 가정의 자녀로서 1항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어린이
한글에 관한 기본적인 역사적 사실과 한국사 학습
한글 자모 암기
한글 자모의 읽기, 결합, 및 쓰기
한글 자모의 활용 (예, 받침, 받침을 쓰는 단어들) 학습
난초반
1. 초등학교 4학년부터 5학년 교육 과정의 연령대에 해당되는 어린이
2. 부모가 가정에서 한글 또는 기타 외국어를 주요 의사소통 언어로 사용하며 1항에 해당하는 어린이
3. 한글과 한국문화에 대한 지속/장기적인 학습을 희망하는 가정의 자녀로서 1항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어린이
한글에 관한 한국사 학습
한글 자모 암기
한글 자모의 읽기, 결합, 쓰기 및 활용
한글 자모의 고급 활용 (예, 쌍자음, 이중모음 등의 읽기 및 쓰기)
짧은 단락을 읽고 이해하기 단락의 구성 문장들 간의 관계 및 의미 이해하기
국화반
1. 중학교 교육 과정의 연령대에 해당되는 어린이 또는 청소년
2. 부모가 가정에서 한글 또는 기타 외국어를 주요 의사소통 언어로 사용하며 1항에 해당하는 어린이 또는 청소년
3. 한글과 한국문화에 대한 지속/장기적인 학습을 희망하는 가정의 자녀로서 1항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어린이 또는 청소년
다양한 한국의 역사 대한 학습
한글 자모 암기
한글 자모의 읽기, 결합, 쓰기 및 활용
한글 자모의 고급 활용 (예, 쌍자음, 이중모음 등의 읽기 및 쓰기)
한글 존칭어 학습
짧은 단락의 읽기, 이해, 및 쓰기
단락의 구성 문장들 간의 관계 및 의미 이해
짧은 단락 만들기를 목표로 글짓기 하기
대나무반
1. 고등학교 교육 과정의 연령대에 해당되는 청소년
2. 부모가 가정에서 한글 또는 기타 외국어를 주요 의사소통 언어로 사용하며 1항에 해당하는 청소년
3. 한글과 한국문화에 대한 지속/장기적인 학습을 희망하는 가정의 자녀로서 1항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청소년
4. 한국 내 대학교에 진학 또는 전학을 계획 중인 청소년
한국사 학습
한글 자모 암기
한글 자모의 읽기, 결합, 쓰기 및 활용
한글 자모의 고급 활용 (예, 쌍자음, 이중모음 등의 읽기 및 쓰기)
한글 존칭어 학습
단락의 읽기, 이해, 및 쓰기
짧은 또는 긴 단락의 글짓기
속담과 고사성어 학습
K-Culture
1. 한국어 활용능력을 향상시키고자 고교 교육 과정 이후의 연령대에 해당되는 청소년 또는 성인
2. 대상자 본인이 가정에서 한글 또는 기타 외국어를 주요 의사소통 언어로 사용하며 1항의 연령대에 해당하는 청소년 또는 성인
3. 한글과 한국문화에 대한 지속/장기적인 학습을 희망하는 청소년 또는 성인
4. 한국 내 대학교에 진학 또는 전학을 계획 중인 청소년 또는 성인
5. 한국 기업에 취업을 계획 중인 성인
한국사 학습
한글 활용 학습
한글 존칭어 학습
생활회화
속담, 고사성어, 전통문화 등에 대한 학습

*수업내용은 학생들의 한국어 수준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개나리반

선발기준
1. 유치원 교육 과정의 대상 연령에 해당되는 5세 또는 6세 어린이
2. 부모가 가정에서 한글을 주요 의사소통 언어로 사용하며 1항에 해당하는 어린이
3. 한글과 한국문화에 대한 지속/장기적인 학습을 희망하는 가정의 미취학 어린이 한글에 관한 기초적인 역사적 사실 학습

교육목표
한글 자모 암기
한글 자모의 읽기, 결합, 및 쓰기
한글 자모(ㄱ, ㄴ, ㄷ, …)의 읽기/쓰기부터 학습


매화반

선발기준
1. 초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 교육 과정의 연령대에 해당되는 어린이
2. 부모가 가정에서 한글 또는 기타 외국어를 주요 의사소통 언어로 사용하며 1항에 해당하는 어린이
3. 한글과 한국문화에 대한 지속/장기적인 학습을 희망하는 가정의 자녀로서 1항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어린이 한글에 관한 기본적인 역사적 사실과 한국사 학습

교육목표
한글 자모 암기
한글 자모의 읽기, 결합, 및 쓰기
한글 자모의 활용 (예, 받침, 받침을 쓰는 단어들) 학습


난초반

선발기준
1. 초등학교 4학년부터 5학년 교육 과정의 연령대에 해당되는 어린이
2. 부모가 가정에서 한글 또는 기타 외국어를 주요 의사소통 언어로 사용하며 1항에 해당하는 어린이
3. 한글과 한국문화에 대한 지속/장기적인 학습을 희망하는 가정의 자녀로서 1항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어린이 한글에 관한 한국사 학습

교육목표
한글 자모 암기
한글 자모의 읽기, 결합, 쓰기 및 활용
한글 자모의 고급 활용 (예, 쌍자음, 이중모음 등의 읽기 및 쓰기)
짧은 단락을 읽고 이해하기 단락의 구성 문장들 간의 관계 및 의미 이해하기


국화반

선발기준
1. 중학교 교육 과정의 연령대에 해당되는 어린이 또는 청소년
2. 부모가 가정에서 한글 또는 기타 외국어를 주요 의사소통 언어로 사용하며 1항에 해당하는 어린이 또는 청소년
3. 한글과 한국문화에 대한 지속/장기적인 학습을 희망하는 가정의 자녀로서 1항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어린이 또는 청소년 다양한 한국의 역사 대한 학습

교육목표
한글 자모 암기
한글 자모의 읽기, 결합, 쓰기 및 활용
한글 자모의 고급 활용 (예, 쌍자음, 이중모음 등의 읽기 및 쓰기)
한글 존칭어 학습
짧은 단락의 읽기, 이해, 및 쓰기
단락의 구성 문장들 간의 관계 및 의미 이해
짧은 단락 만들기를 목표로 글짓기 하기


대나무반

선발기준
1. 고등학교 교육 과정의 연령대에 해당되는 청소년
2. 부모가 가정에서 한글 또는 기타 외국어를 주요 의사소통 언어로 사용하며 1항에 해당하는 청소년
3. 한글과 한국문화에 대한 지속/장기적인 학습을 희망하는 가정의 자녀로서 1항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청소년
4. 한국 내 대학교에 진학 또는 전학을 계획 중인 청소년 한국사 학습

교육목표
한글 자모 암기
한글 자모의 읽기, 결합, 쓰기 및 활용
한글 자모의 고급 활용 (예, 쌍자음, 이중모음 등의 읽기 및 쓰기)
한글 존칭어 학습
단락의 읽기, 이해, 및 쓰기
짧은 또는 긴 단락의 글짓기
속담과 고사성어 학습


K-Culture

선발기준
1. 한국어 활용능력을 향상시키고자 고교 교육 과정 이후의 연령대에 해당되는 청소년 또는 성인
2. 대상자 본인이 가정에서 한글 또는 기타 외국어를 주요 의사소통 언어로 사용하며 1항의 연령대에 해당하는 청소년 또는 성인
3. 한글과 한국문화에 대한 지속/장기적인 학습을 희망하는 청소년 또는 성인
4. 한국 내 대학교에 진학 또는 전학을 계획 중인 청소년 또는 성인
5. 한국 기업에 취업을 계획 중인 성인 한국사 학습

교육목표
한글 활용 학습
한글 존칭어 학습
생활회화
속담, 고사성어, 전통문화 등에 대한 학습


*수업내용은 학생들의 한국어 수준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국 문화 과정

그룹명
선발기준
교육 목표
풍물/미술/체육/두뇌계발
1. 몽고메리 한국학교에서 운영 중인 한글 학습 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어린이, 청소년, 또는 성인
2. 해당 문화교육 과정에 지속/장기적인 참여가 가능하며 1항의 조건을 충족하는 사람
3. 교육 과정을 통해 학급 친구들과 조화롭게 대상 교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사람
한국어로 진행하는 교과외 수업과정
한국의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전통악기, 한국화, 태권도를 중심으로 수업과정 편성
자녀들의 암산 능력 배양과 두뇌계발을 위한 주산과정 운영

풍물/미술/체육/두뇌계발

선발기준
1. 몽고메리 한국학교에서 운영 중인 한글 학습 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어린이, 청소년, 또는 성인
2. 해당 문화교육 과정에 지속/장기적인 참여가 가능하며 1항의 조건을 충족하는 사람
3. 교육 과정을 통해 학급 친구들과 조화롭게 대상 교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사람 한국어로 진행하는 교과외 수업과정

교육목표
한국의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전통악기, 한국화, 태권도를 중심으로 수업과정 편성
자녀들의 암산 능력 배양과 두뇌계발을 위한 주산과정 운영